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우선주와 보통주의 차이 - 벤처캐피탈이 우선주를 선호하는 이유

by nutrient 2022. 6. 8.
728x90
728x170

자본금은 기업 소유권인 주식을 받을 대가로 주주가 제공한 자금을 말하는데, 그 수익이 가변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그 이유는 비용과 부채 등을 차감하고 남은 현금에서 수익을 지급받기 때문이다. 부채는 이자율이라는 형태로 수익이 고정되어 있지만, 회사에 대한 소유권은 없다. 소유권이 없는 대신 해당 기업이 파산했을 경우 주주에 우선해서 변제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갖는다. 주주는 수익이 변동적인 소유권을 가지지만, 해당 기업이 파산할 경우 아무것도 못 건지게 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자본금, 순자산, 보통주는 사실상 동일한 개념이다. 자본금이란 주주가 처음에 회사에 투자한 금액을 말한다. 회사가 순이익을 벌어들이면 그 순이익을 배당금으로 주주에게 나눠줄 수도 있고, 회사 내부에 유보하여 재투자할 수도 있다. 재투자를 위해 순이익의 일부를 사내에 유보하는 금액을 이익잉여금이라고 하는데, 이 이익잉여금도 자본금을 구성하는 항목 중 하나다. 왜냐하면 애초에 회사에 투자할 때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배당을 받은 주주가 배당금을 회사에 재투자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우선주는 부채의 요소와 주식의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종종 복합적 투자 수단으로 불린다. 부채 요소로는, 배당이 고정되어 있다는 점과 보통주에 우선해 변제받는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주식 요소로는,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는 점과 해당 회사가 파산했을 때 부채가 변제된 다음에 변제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우선주는 말 그대로 우선권을 보장받는다. 기업에 문제가 생기면 보통주에 우선해 변제받고, 기업이 잘 돌아가면 채권자보다는 아니지만 일반 주주보다는 우대를 받는다.

그렇다면 기업은 이런 우선주를 왜 발행할까? 기업이 러여운 시간을 맞아 미래를 장담할 수 없게 됐다고 해보자. 파산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있을 때 당신 같으면 투자를 하겠는가? 기업의 리스크에 상응하지 않는 고정된 이자를 받는 셈인데, 그런 상태에서도 이 기업에 돈을 빌려줄 수 있겠는가? 우선주의 독특한 장점은 불안정한 시기에도 기업이 자금을 마련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다.

벤처기업에 자금을 공급하는 벤처캐피탈은 자금을 투자하는 대가로 주로 우선주를 받는다. 이들은 왜 우선주를 선호할까?

우선주를 소유하면 투자한 기업이 문제없이 잘 돌아갈 때는 자신들의 투자자산을 보호할 수 있고, 운영상 문제가 있을 때는 우선적 변제권에 의한 혜택을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투자한 기업이 안정을 찾는 등 상황이 좋아지면, 우선주를 보통주로 전환하기도 한다.

위 내용은 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수의 금융 수업 책 내용 중 일부입니다.

 

728x90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