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찰리 멍거의 심플한 투자 전략

by nutrient 2022. 6. 6.
728x90
728x170

지난 50년 동안 주식형 뮤추얼 펀드가 시장 평균을 웃돈 확률이 2% 밖에 안 된다고 한 것은, 내가 상황을 너무 비관적으로 봤기 때문에 나온 결과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지 모른다. 그렇게 생각한다면 크레디트 스위스의 수석 시장전략가이자 통섭과 투자의 저자이기도 한 컬럼비아 경영대학원의 부교수 마이클 모부신의 계산 결과를 살펴보라. 그나마 내 계산상으로는 50년 동안 주식시장을 이기는 포트폴리오가 50개 중 1개꼴이라는 의미다. 그런데 모부신은 일반 펀드가 15년 연속으로 시장을 이길 확률은 22만 3,000분의 1이고 21년 동안 시장을 이길 확률은 무려 3,100만 분의 1이라고 했다. 어느 모로 보나 일반 펀드가 전체 시장을 포괄한 인덱스펀드를 이길 확률은 보다시피 처참한 수준이다.

워런 버핏의 사업 파트너 찰리 멍거는 복잡한 방식은 피하고 단순한 방식을 취하라는 취지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요즘 들어 자선기금의 투자방식이 너무 복잡해지고 있다. 어떤 기부 기금을 보면 투자상담사라는 사람이 한둘이 아니고 무더기로 있다. 이것도 모자라 우수한 투자상담사를 또 찾아내고, 다양한 범주에 투자자산을 배분하고, 애초에 선언한 투자 스타일을 제대로 고수하는지 확인하는 등등의 업무를 맡을 전문 자문가를 또 고용한다. 여기에 투자은행이 고용하는 증권분석가까지 정말 정신이 하나도 없을 정도로 인적 구조가 너무 복잡하다.

이러한 복잡성과 관련한 분명한 사실이 한 가지 있다. 투자 관리에 소요되는 총비용에다 대규모 투자 포지션을 수도 없이 바꿔대는 데 따른 마찰 비용까지 합하면 전체 비용이 순자산 가치의 3%에 달할 정도다. 전체 투자자 집단은 자신들이 고용한 전문가에게 빠져나가는 비용만큼 투자 수익에서 손해를 보게 된다.

그리고 정확히 전체 투자자의 절반은 투자판의 '딜러'인 투자 자문가의 몫을 제하고 나면 항상 평균을 밑도는 성과를 낸다. 그나마 그 평균 수익이라는 것도 만족할 만한 수준이 아니다. 그러므로 인덱스 투자로 전환함으로써 중간에서 내 몫을 축내기만 하는 자문가나 상담사를 거치지 말고 직접 투자하고 투자 회전율도 줄이는 것이 최선이다."

위 내용은 모든 주식을 소유하라 책 내용의 일부입니다.

 

주식하면 집안 망한다.

인터넷에서 화제인 주식하면 집안 망한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다 보면 주식하면 집안 망한다에 대해 아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주식하면 집안 망한

tistorysolution.tistory.com

728x90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