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하버드 대학이 기금을 운용하는 방법

by nutrient 2022. 6. 6.
728x90
728x170

하버드 매니지먼트 컴퍼니의 전 사장이자 하버드대학 기금을 80억 달러에서 270억 달러로 크게 불린 투자 귀재 잭 마이어의 의견을 귀담아 들어보자. 마이어가 2004년에 <비즈니스위크>와의 인터뷰에서 밝힌 내용을 여기에 소개한다.

"투자업계는 거대한 사기꾼 집단이다. 남보다 나은 성과를 내줄 펀드매니저를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그 대다수가 잘못 생각한 것이다. 내가 보기에 벤치마크(benchmark, 투자성과 평가의 기준 지표)를 밑도는 성과를 내는 관리자가 85~90%는 된다. 펀드매니저는 서비스 수수료와 매매비용을 발생시키므로 전체적으로 투자자의 자산 가치를 갉아먹는 존재다."

하버드 매니지먼트의 자산운용 방식에서 개인 투자자도 배울 수 있는 것이 있느냐고 묻자 마이어는 이렇게 답했다.

"물론 있다. 먼저 투자 다각화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가능한 한 많은 자산군을 포괄하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라. 두번째로는 보수 수준을 낮춰야 한다. 광고만 요란한 비싼 펀드는 피하고 저비용 인덱스펀드를 선택하라는 말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장기 투자를 해야 한다. 보수 수준을 낮추고 세금을 줄이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인덱스펀드에 투자하는 것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내가 확실히 보장한다."

논쟁의 여지가 좀 덜한, 학계의 견해를 살펴본다는 차원에서 시장 변화를 이기는 투자의 저자인 프린스텅 대학 교수 버튼 말키엘의 의견을 들어보자.

"인덱스펀드의 연간 수익률은 액티브(적극적) 펀드매니저의 수익률을 항상 2퍼센트 포인트 정도 앞서는 모습이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액티브 펀드는 시장 평균을 웃도는 수익을 낼 수 없기 때문에 펀드 운용보수와 매매비용에 해당하는 만큼이 항상 인덱스펀드 수익을 밑돌게 된다.

내 경험에 비추어 보건대 인덱스펀드 투자자는 대체로 일반 펀드매니저의 수익률을 웃도는 성과를 낸다. 고액의 펀드 운용보수와 높은 포트폴리오 회전율이 투자수익률을 갉아먹기 때문이다. 인덱스펀드는 최소한의 비용으로 크게 힘들이지 않고 시장수익률을 올릴 수 있는, 매우 합리적이고 유용한 투자방식이다."

위 내용은 모든 주식을 소유하라 책 내용의 일부입니다.

 

주식하면 집안 망한다.

인터넷에서 화제인 주식하면 집안 망한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다 보면 주식하면 집안 망한다에 대해 아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주식하면 집안 망한

tistorysolution.tistory.com

728x90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