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200만 원 이상 수령하는 경우 연금소득세와 종합소득세 차이

by nutrient 2022. 6. 4.
728x90
728x170

연금저축펀드와 IRP는 대표적인 사적연금입니다. 공적연금인 국민연금과는 다릅니다. 사적연금은 본인 스스로 사적으로 가입해서 노후에 받을 연금을 준비하는 겁니다. 반대로 공적연금(국민연금)은 강제입니다. 사적연금이 무엇인지 알았으니 사적연금을 1,200만 원 이상 수령할 경우 세금이 어떻게 될지 알아보겠습니다. 연금을 1년에 1,200만 원 이상 수령하게 될 경우 종합소득세를 납부해야 하기 때문에 종합소득세가 얼마나 나오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을 거 같습니다. 직접 예시를 통해 연금소득세와 종합소득세 차이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연금저축과 IRP를 노후에 연금 형식으로 받아서 사용한다고 하면 연금소득세를 납부하게 됩니다. 55세 이상 70세 미만이면 5.5%의 연금소득세율이 부과되고 70세 이상 80세 미만이면 4.4% 마지막으로 80세 이상에 연금 수령을 하는 경우 3.3%의 연금소득세가 부과됩니다. 이 연금소득세율은 분리 과세됩니다. 연금을 수령할 때 각 나이에 해당하는 연금소득세율을 미리 납부하고 통장에 연금이 들어오게 됩니다. 분리과세되기 때문에 종합소득세를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하지만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연 1,200만 원 이하 연금을 수령하는 경우에만 종합소득세를 납부하지 않습니다. 다시 말하면 연 1,200만 원 이상 연금을 수령하게 되면 종합소득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연금을 제외한 소득이 없다고 가정하고 진행해보겠습니다. 연금소득으로 2,000만 원을 받게 되면 연금소득공제액은 690만 원입니다. 연금액이 2,000만 원에 해당하기 때문에 700만 원 초과와 1400만 원 이하 구간에 해당되어 공제액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630만 원 + (2,000만 원 - 1,400만 원) * 10%는 690만 원입니다. 여기서 인적공제 150만 원을 추가로 받게 되면 과표는 1,160만 원이 됩니다. 

 

과표가 1200만 원 이하에 해당되니 세율은 6%입니다. 1,160만 원에 대해 6% 세금이 부과되면 69만 6천 원입니다. 연금을 2,000만 원 수령할 경우 연금소득세가 아닌 종합소득세가 부과되기 때문에 69만 6천 원의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2,000만 원 수령 시 납부해야 할 세금은 약 3.48% 정도입니다.

연금소득세의 경우 80세 이상 수령할 경우 3.3%이니 종합소득세로 납부한다고 해도 크게 불리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각자 상황에 따라서 세율이 달라지기 때문에 연금을 수령할 때 연금소득세 말고 종합소득세로 신고할 수도 있으니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찾아서 이용하시면 됩니다. 천천히 읽어보면 어렵지 않으니 헷갈리는 부분이 있다면 다시 한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스포츠카를 못타는 인생은 진짜 불쌍한 인생이다

인터넷에서 유명한 글인 스포츠카를 못타는 인생은 진짜 불쌍한 인생이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다 보면 스포츠카를 못타는 인생은 진짜 불쌍한 인생이다

tistorysolution.tistory.com

 

728x90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