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런저런얘기

창업보육센터의 정의 - 창업보육전문매니저 핵심 요약 정리

by nutrient 2022. 10. 26.
728x90
728x170

I. 창업보육센터의 이해


1. 창업보육센터 개념


가. 창업보육센터의 정의


창업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창업자에게 시설 · 장소를 제공하고 경영 · 기술분야에 대하여 지원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사업장

 

창업보육센터는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 사업장 및 시설 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에게 기술개발에 필요한 범용 기기 및 작업장 제공 · 기술 및 경영지도 · 자금조달 등의 지원을 통해 창업에 따른 위험부담을 줄이고 원활한 성장을 유도함으로써 창업을 촉진하고 성공률을 높이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사업 수행 기관


창업보육센터의 기본적인 기능은 보육(Incubate)이다. 


창업보육센터 운영 목표는 기술혁신 결과의 실용화 촉진, 신사업 창출, 고용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기술인력 양성, 대학 및 연구기관의 연구기능 활성화 등 공공과 민간의 목표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창업보육정책의 일환이다. 


나. 창업보육센터 유형


창업보육센터의 유형은 설립 및 운영주체, 보육대상의 특성화 여부, 지리적 위치, 운영방침 등의 차이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2. 국내 창업보육사업의 발전과정

국내 창업보육센터의 개념이 처음 도입된 것은 미국 NASA를 벤치마킹하여 1991년 (구)생산기술연구원이 산업자원부의 지원을 받아 시행한 것을 시초로 본다. 


입주 방식의 창업보육사업은 1993년 (주)중부산업컨설팅의 영동창업보육센터가 최초로 민간 창업보육센터로 운영을 시작하였다. 


창업보육사업이 본격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한 것은 1996년 중소기업청 개청과 함께 1997년 외환위기 이후부터이다.
1997년 8월에는 벤처기업 지원에 보다 체계적인 구조를 확보하고 향후 벤처기업 활성화를 위한 법률적 기반의 마련을 위해 "벤처기업 육성에 관한 특별 조치법"이 제정되었다. 


2017년 : 중소기업청 → 중소벤처기업부로 격상


2019년 : “제2의 벤처붐”을 통한 혁신적 포용 국가 달성을 비전으로 수립. 벤처투자 연간 5조원, 유니콘 기업(10년 이하의 기업으로 기업가치가 1조 이상의 비상장 스타트업) 20개 창출, M&A 활성화를 위한 회수시장 조성의 3대 목표를 설정.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창업→투자→성장→회사→재투자”의 성장 단계 강화와 스타트업에 친화적인 생태계가 조성 전략 추진(1.신산업고기술 스타트업 발굴, 2. 벤처 투자시장 내 민간자본 활성화, 3. 성장과 글로벌, 4.벤처투자 회수 및 재투자, 5.스타트업 친화적 인프라 구축)


2020년 이후 창업정책의 정책 방향 : 디지털 경제 전환(스마트공장, AI, 데이터기반 제조 혁신) 및 벤처 4대 강국, 혁신벤처 스타트업을 선도형 경제 주역화(창업붐, 투자붐, 수출붐), 미래 선도 벤처 창업 육성으로 창업열기 지속확산(기술, 청년, 지역 중심의 혁신 창업활성화)


※ 유니콘기업이란 벤처투자를 유치하면서 기업가치를 1조원 이상으로 평가받는 비상장기업으로 유니콘 기업 수는 창업·벤처 생태계의 확장(스케일업)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인식되고 있다. 21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유니콘 기업은 18개이다. 


3. 해외 창업보육사업 현황


가. 국가별 창업보육 현황

○ 미국
세계 최초의 창업보육센터 뉴욕주의 바타비아 기술센터(1959)이다.
미국에서 창업보육센터는 고용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개발기술에 대한 이전을 통한 기술 상업화, 창업 촉진, 여성들과 소수 그룹에 대한 지원 등을 목적으로 설립.
대표적인 인큐베이터 및 액셀러레이터로는 '500스타트업', '와이콤비네이터' 등이 있다.

○ 일본
일본의 창업보육사업은 창업보육센터를 건립하고 운영하는 자금을 제공하는 경제산업성(METI)과 대학의 창업기업 정책을 주관한 문부과학성(MEXT)에 의해 주도됨.
일본의 주요 창업보육센터 유형은 통산성 및 자치단체의 후원에 의한 민관 합동 방식인 리서치코어(Research Core)형으로 지역산업의 활성화와 산업 진흥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습니다.

○ 독일
철강, 석탄 등의 전통산업이 쇠퇴함에 따라 지방정부에서 침체된 지방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설립.
ADT를 중심으로 창업보육센터를 후원하는 연구소, 기술 이전 사무소, 기술혁신 컨설턴트, 은행 등 금융기관, 보험회사들이 정책적으로 하나의 연합체를 구성하여 중소기업 육성 및 창업 지원을 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함

○ 이스라엘
이스라엘의 창업보육사업을 대변할 수 있는 것은 TIP(Technical Incubator Program)사업으로서 TIP사업은 무역산업부의 수석과학관실의 주도하에 국가 차원에서 도입
이스라엘의 경제적 자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술 기반 산업의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는 국가차원의 신념에서 비롯됨
이스라엘 창업보육센터의 운영 목표는 창업촉진, 기술 아이디어의 발굴 지원을 통한 신상품의 개발 및 활성화, 새로운 이주민의 기술혁신 아이디어를 정책적으로 지원, 전문적으로 숙련된 인력 및 이주민의 고용창출에 있음.
이스라엘 창업보육센터의 성공요인으로 인센티브 메커니즘, 하이테크 기술분야에 대한 선택과 집중, 엄격한 선정 평가와 마일스톤 관리, 프로젝트에 대한 충분한 자금지원, 분야별 특화된 인큐베이터 등의 요인이 있다. 

○ 핀란드 
첨단 과학기술 단지인 오타니에미(Otaniemi) 사이언스파크는 북유럽 최대의 하이테크 창업보육 단지로서 지식기술에 기반한 핀란드 경제성장의 엔진 역할을 수행함
보디가드(bodyguard)라 불리는 해당 기업별 전담 조언자 및 담당자를 통해 기업 밀착형 맞춤 서비스를 제공

○ 프랑스
누마(NUMA) : 높은 퍼포먼스와 개방성의 철학으로 파리에 위치한 스타트업 양성 협회로 공간을 창업단계별로 층을 나누어 관리
Paris & Co : 지자체 중심의 스타트업 인큐베이터, 유럽 최대의 창업보육 네트워크 보유, 도시 중심의 실험
Ecole42 : 등록금이 없는 비영리 컴퓨터 프로그램 전문학교, 시간제한 없는 프로젝트 수행

○ 영국
영국 정부는 Science Enterprise Challenge(SEC)를 통해 대학에서의 창업교육을 지원함. SEC는 대학과 기업의 연계 강화, 연구자와 학생을 위한 창업 교육 및 실습 프로그램을 지원하는데, 기업에 대한 교육, 기업을 통한 교육, 기업을 위한 교육을 표방하는 것이 특징임

영국의 스타트업 정책의 특징은 정책 집행의 효율화를 위해 스타트업 클러스터를 이용하고 , 성장가능성 스타트업 기업을 선정하여 관련 기업들의 위치적 집중화 및 교류, 시너지 효과 등을 통해 높은 성공 및 동반 성장을 실현하고 있다.

 

창업보육센터에 대한 정의 
 
[중소기업 창업 지원법] 제2조 제7항에 의하면, '창업보육센터는 창업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창업자에게 시설, 장소를 제공하고 경영,기술분야에 대하여 지원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사업장'으로 정의하고 있다. 

 
창업보육센터는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과 사업장 및 시설 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예비) 창업자에게 기술개발에 필요한 범용 기기 및 작업장 제공, 기술 및 경영지도, 자금조달 등의 지원을 통해 창업에 따른 위험부담을 줄이고 원활한 성장을 유도함으로써 창업을 촉진하고 성공률을 높이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사업 수행 기관이다.

 

창업보육센터의 기본적인 기능과 운영 목표
 
창업보육센터의 기본적인 기능은 '보육(Incubate)'이다. '부화하다'라는 의미를 가진 'Incubate'는 배태 조직으로서 새로운 사업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적절하고 통제된 조건을 유지시켜 주는 창업 인프라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대학, 공공연구기관, 지방정부, 민간기관 등이 신생 기술창업을 촉진하고 육성하기 위해 창업보육센터를 설립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나 신기술을 보유한 (예비) 창업자들을 입주시켜 제반 혜택 및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신생 중소기업의 생존율 및 성공률을 제고하는 역할을 한다. 

 

창업보육센터의 운영 목표는 기술혁신 결과의 실용화 촉진, 신사업 창출, 고용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기술인력 양성, 대학 및 연구기관의 연구기능 활성화 등 공공과 민간의 개발목표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창업보육 정책의 일환이다. 

 

창업보육센터의 유형 
설립 및 운영 주체

공공 및 비영리단체 센터 : 중앙정부/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이 설립, 경제의 다각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가 주된 목표, 고용 창출 및 과세 대상의 확대


대학 및 연구기관 센터 : 대학 및 연구기관이 설립, 연구 결과의 상업화 및 기술 이전, 사업화 결과에 따른 대학 재정 수입 강화, 지역 사회에의 기여 및 대학(연구소) 이미지 제고, 연구 기회 부여 등 실질적인 산학 협동, 소속원 및 졸업생에게 창업 기회 제공


민간 센터 : 개인 및 민간기업이 비즈니스를 위해 투자 운영, 영리 추구 및 기업의 구조 개편 등이 목적, 신기술 확보 및 기술이전에 투자, 부동산 개발 목적,


민간/공공 합작 센터 : 민간, 대학 및 공공단체 등에서 공동 설립, 정부의 보조금과 지원 및 민간의 전문기술과 자본의 결합으로 시너지 효과 기대



특화 센터 : 특정 분야 또는 특정 대상에 해당되는 전체 입주자의 100분의 70 이상이거나 중소벤처기업부와 협약에 따라 전체 보육실 면적 중 일정 면적 이상을 확보하여 보육 지원, 기업의 성장 단계에 따라 서비스를 특화, 지원 인력의 해당 업종 전문가 확보 필요 


비 특화 센터 : 다양한 업종을 대상으로 복합형 보육, 전반적인 경영능력을 보유한 전문경영인 확보 필요 
지리적 위치 

대학(인접) 센터 : 대학의 축적된 인적 자원, 기술 및 설비 활용, 첨단기술 산업의 육성에 적합, 연구 결과의 조속한 사업화 가능


도시지역 센터 : 건물, 설비 등 물적 자산에 접근 용이, 시장 근접, 마케팅 활동 유리
농촌지역 센터 : 지역 고유의 자원 획득 유리, 입주 공간 사용료 등 고정 경비가 상대적으로 저렴
운영방침

자립운영 센터 : 센터 설립 목적에 충실한 운영 정책 시행, 지원 서비스의 전문화 특화 운영 가능
비자립 운영 센터 : 운영비 지원기관의 정책 반영, 운영기관의 이익 배제로 공공이익 반영 

728x90
그리드형

댓글